브레이크 블레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레이크 블레이드는 요시나가 유노스케가 쓰고 그린 만화로, 2006년 소년 웹 만화 잡지 《소년 블러드》에서 연재를 시작하여, 여러 잡지를 거쳐 2022년 완결되었다. 단행본은 여러 판본으로 출판되었으며, 극장판 애니메이션 6부작으로 제작되어 2010년부터 2011년까지 개봉되었고, 이를 재구성한 TV 애니메이션이 2014년에 방영되었다. 작품은 마력을 가진 자들이 석영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골렘을 활용하여 전쟁을 벌이는 크루존 대륙을 배경으로, 마력이 없는 주인공 라이가트 아로가 고대 골렘 델핑을 조종하며 겪는 이야기를 다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XEBEC - 록맨 에그제 (애니메이션)
2002년부터 2006년까지 방영된 록맨 에그제 애니메이션 시리즈는 주인공 히카리 넷토와 그의 네비 록맨이 악의 조직에 맞서 네트워크 세계의 평화를 지키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총 5개의 시리즈와 극장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 XEBEC - 히토히라
히토히라는 기리하라 이즈미의 만화로, 소심한 여고생 아사이 무기가 연극 연구회에 들어가 성장하며 겪는 이야기이며, 애니메이션, 소설, 연극으로도 제작되었다. - 2011년 애니메이션 영화 - 붓다 (만화)
데즈카 오사무의 만화 《붓다》는 약 2500년 전 인도를 배경으로 석가모니의 삶과 깨달음, 그리고 그를 둘러싼 시대적 혼란과 인간의 고뇌를 불교적 주제인 연기와 무상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 2011년 애니메이션 영화 - 해피 피트 2
《해피 피트 2》는 탭댄스 펭귄 멈블 가족이 빙산 붕괴 위기 속에서 아들 에릭의 성장과 모험을 그린 3D 애니메이션 영화로, 브래드 피트, 맷 데이먼 등이 목소리 출연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수익을 거두었으나 평가는 엇갈렸다. - 2010년 애니메이션 영화 - 드래곤 길들이기 (2010년 영화)
드래곤 길들이기(2010년 영화)는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이 제작한 영화로, 바이킹 소년 히컵이 드래곤 투슬리스와의 우정을 통해 드래곤에 대한 편견을 깨고 갈등을 화해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 2010년 애니메이션 영화 - 스페이스 독
2024년 공개된 애니메이션 영화 스페이스 독은 1960년대 모스크바를 배경으로 우주 비행견 벨카와 스트렐카의 우주 비행과 지구 귀환 이야기를 그린 스뱌토슬라프 우샤코프 감독의 작품이며, 속편을 포함하는 시리즈로 제작되었다.
브레이크 블레이드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작품 정보 | |
제목 | 브레이크 블레이드 |
원제 | ブレイク ブレイド (부레이쿠 부레이도) |
장르 | 액션 메카 |
작가 | 요시나가 유노스케 |
만화 | |
출판사 | 플렉스 코믹스 |
영문 출판사 | CMX |
연재 잡지 | 월간 소년 블러드 (2006) FlexComix 블러드 (2007–2012) COMIC 메테오 (2012–2022) |
대상 독자층 | 소년 청년 |
연재 기간 | 2006년 9월 12일 ~ 2022년 10월 12일 |
권수 | 20권 |
영화 시리즈 | |
총감독 | 아미노 테츠로 |
감독 | 하바라 노부요시 |
프로듀서 | 켄 오오카와라 나오 히라사와 |
각본 | 소고 마사시 |
음악 | 히라노 요시히사 |
제작사 | Production I.G & Xebec |
라이선스 | {{English anime licensee |
상영 기간 | 2010년 5월 29일 ~ 2011년 3월 26일 |
상영 시간 | 각 50분 |
에피소드 수 | 6 |
TV 애니메이션 | |
감독 | 하바라 노부요시 |
음악 | 히라노 요시히사 |
제작사 | Production I.G & Xebec |
방송사 | 도쿄 MX 선 텔레비전 BS11 |
방영 기간 | 2014년 4월 6일 ~ 2014년 6월 22일 |
에피소드 수 | 12 |
소설 | |
제목 | 브레이크 블레이드 -창월의 유대- |
작가 | 타니무라 다이시로 |
삽화가 | 츠바키 하루사메 |
출판사 | 소프트뱅크 크리에이티브 |
연재 잡지 | GA Graphic |
연재 기간 | 2010년 4월 16일 ~ 2011년 4월 28일 |
권수 | 미간행 |
화수 | 전 12화 |
기타 | 메카닉 설정: 야나세 타카유키 |
2. 역사
《월간 소년 브랜드》(모비다 엔터테인먼트 발행, 소프트뱅크 크리에이티브 발매) 2006년 10월호부터 연재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연재 잡지가 2006년 11월호 이후 휴간하면서, 다른 연재 작품들과 함께 Yahoo! 코믹스 내 무료 웹코믹지 《FlexComix 브랜드》로 이적하여 2007년 1월 17일부터 연재를 재개하였다. 이후 한 달에 한 번씩 연재되었으며, 1화와 최신호를 무료로 열람할 수 있었다. 또한 본래 출판사였던 플렉스 코믹스의 웹사이트 《[http://flex-comix.jp/ FlexComix Web]》에서도 2009년 10월 26일부터 볼 수 있게 되었다.
저자의 첫 로봇 만화이며, 이 작품부터 펜네임을 吉永裕介에서 吉永裕ノ介로 바꾸었다(발음은 같음). 2009년 7월 8일에 애니메이션 제작이 발표되었으며, 2010년 5월 29일부터 총 6부작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차례차례 공개되었다.[31][32] 극장판 애니메이션 공개를 기념하여 2010년 4월 16일부터 《GA Graphic》에서 외전 온라인 소설 《브레이크 블레이드 창월의 유대》가 연재되었다.
맨 처음(단행본 1권 타이틀 로고 등) 제목 밑, 혹은 옆에 《BREAK BLADE》로 표기되어 있었으나, 2권 이후에는 영제가 병기되어 있지 않다. 애니메이션판 타이틀에는 〈부러진 검〉을 의미하는 《BROKEN BLADE》가 병기되어 있다. 애니메이션판 공식 사이트 URL도 《breakblade》이다.
2. 1. 연재 및 출판
2006년 10월, 모비다 엔터테인먼트가 발행하고 소프트뱅크 크리에이티브가 발매하는 월간 소년 브랜드에서 요시나가 유노스케의 원작 만화 연재가 시작되었다.[35][36] 그러나 연재 잡지가 2006년 11월호를 끝으로 휴간하면서 연재가 중단되었다. 이후 Yahoo! 코믹 내 무료 웹 코믹지 FlexComix 브랜드로 이적하여 2007년 1월 17일부터 연재를 재개하였다.[35][36] 2011년 9월부터는 부정기 연재로 변경되었고, 2012년 7월에는 COMIC 메테오로 이적하여 현재까지 연재가 이어지고 있다.[37][38]단행본은 여러 차례 판본을 달리하여 출판되었다.
판본 | 발행일 | ISBN |
---|---|---|
플렉스 코믹스 | 2007년 4월 10일 | / (신장판) |
2007년 9월 10일 | / (신장판) | |
2008년 3월 10일 | / (신장판) | |
2008년 9월 10일 | / (신장판) | |
2009년 2월 9일 | / (신장판) | |
2009년 7월 8일 | / (신장판) | |
2009년 12월 9일 | (통상판)/(한정판) | |
2010년 5월 21일 | ||
2010년 12월 8일 | (통상판) /(한정판) | |
2011년 8월 10일 | (통상판) / (한정판) | |
2012년 11월 12일 | (통상판) / (한정판) | |
COMIC 메테오 | 2013년 6월 12일 |
제7, 9, 10, 11권은 한정판과 통상판의 표지가 다르며, 제9권 한정판에는 추가 단편 만화와 탁상용 캘린더가 부록으로 제공되었다.
2007년 7월 12일부터는 야후코믹스에서 유료 전자책으로도 연재되었다. 2012년 10월 17일부터는 니코니코 정화에서 무료 재수록 연재가 이루어지고 있다.
2. 2. 미디어 믹스
2009년 7월 8일에 애니메이션 제작이 발표되었고, 2010년 5월 29일부터 총 6부작의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순차적으로 공개되었다.[31][32] 극장판 애니메이션은 프로덕션 I.G와 XEBEC이 제작을 담당했으며, 총감독은 아미노 테츠로, 감독은 하바라 노부요시가 맡았다. 극장판 애니메이션은 한국에도 수입되어 VOD로 출시되었다.2014년에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재구성하고 신규 장면을 추가한 TV 애니메이션이 방영되었다.[34] TV 애니메이션은 2014년 4월부터 6월까지 방영되었다.
극장판 애니메이션의 스태프는 다음과 같다.
역할 | 이름 |
---|---|
총감독 | 아미노 테츠로 |
감독 | 하바라 노부요시 |
캐릭터 디자인 | 노리타 타쿠시게 |
메카닉 디자인 | 야나세 다카유키 |
메카닉 디렉터 | 마츠무라 타쿠야 |
프롭 디자인 | 야마다 타카히로, 에다마츠 히지리 |
시리즈 구성 | 소고 마사시 |
미술감독 | 코하마 유타카 |
색채설계 | 세키모토 미츠코 |
촬영감독 | 후네구라 카즈아키 |
편집 | 이토 쥰이치 |
음향감독 | 츠루오카 요타 |
음악 | 히라노 요시히사 |
프로듀서 | 오가와 켄지 |
애니메이션 제작 | 프로덕션 I.G, XEBEC |
배급 | KlockWorx |
제작 | 브레이크 블레이드 제작위원회(반다이 비주얼, 란티스, 하쿠호도DY 미디어 파트너즈, 플렉스코믹스, 필즈, 프로덕션 I.G, XEBEC) |
극장판 애니메이션의 오프닝 테마는 코키아가 부른 "Fate"이며, 처음 5편의 영화의 엔딩 테마는 페이란의 "SERIOUS-AGE"이고, 6편의 영화 엔딩 테마는 코키아의 嘆きの音|탄식의 소리일본어이다.
DVD & Blu-ray에 수록된 영상특전 픽쳐 드라마는 다음과 같다.
- 제1장 《대륙력 784년 앗삼 국위사관학교의 어느 곳에서》
- 제2장 《이리오스 연방군사학교》
- 제3장 《크리슈나 9세, 어전시합》
- 제4장 《밀레닐 부대, 결성!》
- 제5장 《잠입! 보르키스 저택》
《브레브 레이디오》란 타이틀로 2010년 4월 30일부터 애니메이트 TV에서 인터넷 라디오로 방송되었다. 격주 금요일마다 업데이트되었다. 《크리슈나 왕실 광고부》와 《크리슈나 왕궁 여궁신》 두개의 프로그램 체제로 방송되었다.
외전 온라인 소설 《브레이크 블레이드 창월의 유대》가 2010년 4월 16일부터 《GA Graphic》에서 연재되었다. 한달에 한편씩 업데이트되었다. 아테네스 연방과 크리슈나 왕국의 전쟁 전모가 밝혀진지 한 달 뒤, 미조람 요새를 중심으로 서부국경전선을 수비하는 다난소대의 이야기이다.
- 저자: 타니무라 다이시로 (프로덕션 I.G 소속)
- 삽화: 오쿠무라 다이고
- 메카닉 설정: 야나세 타카유키
3. 등장인물
크루존 대륙 사람들은 대부분 석영을 다룰 수 있는 '마력'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주인공 라이가트는 마력이 없는 희귀한 존재, '무능력자'이다. 어느 날, 라이가트는 사관학교 친구이자 크리슈나 국왕인 호드르의 부름을 받는다. 왕도에서 호드르와 그의 왕비이자 역시 사관학교 친구인 시귄을 만난 라이가트는, 군사 강국 아테네스 연방이 크리슈나를 침략했으며, 그 선봉 부대장이 사관학교 시절 친구인 제스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호드르는 라이가트를 석영 채굴장으로 데려가 고대인이 만든 고대 골렘을 보여준다. 아무도 움직이지 못했던 이 골렘은, 적의 습격에 휘말린 라이가트가 우연히 조종하게 된다. 이렇게 친구였던 네 사람은 전쟁 속에서 서로에게 총을 겨누게 되고, 그들의 운명은 예측할 수 없는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든다. 작품 속 인명과 용어는 그리스 신화와 북유럽 신화에서 많이 따왔다.
- '''여제''' : 오를란도의 162대 여제로,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사랑을 받는다. 하지만 실제로는 매우 교활하고 계산적인 인물이다.
- '''아루비아''' : 오를란도의 수석 성직자이다.
- '''케인 장군''' : 오를란도의 장군이자 호드르의 처남이다. 여제의 명령에 따라 크리슈나를 돕기 위해 오를란도 원정군을 이끌 예정이었으나, 여제는 마지막 순간에 그를 몰락 장군으로 교체한다. 이는 케인과 호드르의 관계 때문에, 여제가 크리슈나와 아테네스 양쪽 모두를 약화시킨 후 개입하여 크리슈나를 점령하려는 계획을 세웠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케인은 호드르와 크리슈나를 구하기 위해 원정에 합류한다.
- '''몰락 장군''' : 케인 장군을 대신하여 오를란도 원정군을 이끄는 인물이다. 가면을 쓴 젊은 여성으로, 제국의 정치 상황을 꿰뚫어 보는 영리함을 지녔다. 케인을 존경하며 그의 우려에 대해 어느 정도 여유를 보인다.
- '''린디''' : 케인 장군의 아내이자 호드르의 여동생, 그리고 시귄의 시누이이다. 여제의 좋은 친구이기도 하다.
- '''그레타|グレタ|Gureta일본어''' : 이노우에 키쿠코가 목소리를 연기했다. 여섯 번째 영화에서 르가트의 델핑을 위한 석영 갑옷과 무기를 만드는 것을 돕는 상인이자 기술자이다.
3. 1. 크리슈나 왕국
크리슈나 왕국은 크루존 대륙 중앙에 위치한 왕국이다. 현재 국왕은 크리슈나 9세이며, 수도는 비논텐이다. 석영 채굴량이 대륙에서 가장 많고 수산업도 활발하다. 아테네스 연방 및 앗삼 왕국과 같은 언어를 사용한다. 골렘은 약 200대 보유하고 있다.[40]- '''라이가트 아로''': 본작의 주인공으로, 마력이 없는 '무능력자'이다. 그러나 고대 골렘 '델핑'을 조종할 수 있다. 앗삼국 사관학교에 다녔던 시절이 있지만, 금전적인 이유로 중퇴했다. 호드르, 시귄, 제스와 친구였으며, 이들은 〈문제아 4인방〉으로 불렸다. 크리슈나 군에 입대하여 바르도 장군 휘하의 2등중기사(나중에 1등중기사)가 된다. 델핑을 중심으로 신설된 국왕직속 특별유격대 〈제1독립전대(밀레닐부대)〉에 편입된다.[40]
- '''시귄 엘스텔''': 크리슈나 왕비이자 천재 마동 기술자이다. 평민 출신으로, 왕궁의 연구기관을 지휘하고 있다. 긴 금발과 하얀 피부를 가진 미녀로, 국민들에게 인기가 높다. 사관학교 시절부터 라이가트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다. 호드르의 아내가 된 지금도 그 마음은 변하지 않았다. 델핑을 분석하던 중, 마력을 가진 현대인은 고대인의 후예로 인지되지 않을 수 있다는 의문을 갖게 된다.[40]
- '''호드르 (크리슈나 9세)''': 크리슈나 국왕으로, 풀네임은 호드르 벡트 기로 메고 기 데이라 베탈 에그제 제요더이다. 소탈한 성격으로 신하와 국민에게 두터운 인망을 받고 있다. 즉위 후 국정개혁을 단행하고 귀족연합의 반란을 평정하는 등 정세를 수습하였다. 오를란도에 속아 아테네스 연방에게 침략의 대의명분을 제공하고, 크리슈나에 선전포고를 받게 된다. 국민을 지키기 위해 항복하려 했으나, 라이가트와 바르도의 간언을 받아들여 항쟁할 것을 결의한다.[40]
- '''바르도 장군''': 크리슈나 왕국의 쌍벽이라 불리는 2대 장군 중 한 명이다. 항상 선글라스를 끼고 있으며, 크리슈나의 명장으로도 유명하다. 라이가트를 총애하며 현재 크리슈나에 필요불가결한 존재라고 생각하고 있다. 크리슈나의 항복조건을 알고 있는 많지 않은 인물 중 하나이며, 호드르를 지키기 위해 항쟁할 것을 주장하였다.[40]
- '''토르 장군''': 크리슈나 왕국의 쌍벽이라 불리는 2대 장군 중 한 명이다. '''드라우프닐(황금반지) 중기사단'''을 지휘하고 있다. 일반적인 고위마동전사가 제어할 수 있는 석영인대가 5묶음이 한계인데 비해 6묶음을 제어하는 마력량을 지녔다. 고아원을 운영하는 아내가 있으며, 휘하의 기사단원들도 그 고아원 출신이 많다. 니케의 기라토스의 습격을 받아 전사한 것으로 보고되었다.[40]
- '''나르비 스트라이드''': 제1독립전대(밀레닐 부대) 대장으로, 상등중기사이다. 평민 출신이며, 나일의 여동생이다. 드라우프닐 중기사단에서 토르 장군의 특별전술고문을 맡았으나, 밀레닐 부대의 대장으로 추천받아 이를 승낙한다. 왕국 중앙병군 양성학교에 재적 당시, 상급전술사관 모의 시험을 톱으로 통과한 적이 있다. 밀레닐 부대 해산 후에는 사쿠라대대장 밑에서 중대장으로 취임한다.[40]
- '''나일 스트라이드''': 제1독립전대(밀레닐 부대) 대원, 일등중기사이다. 평민 출신으로, 나르비의 오빠이다. 창술의 명수로, 전투는 자신있지만 공부는 쥐약이다. 벡토리아 고개에서 이오와 싸울 때 패배한 뒤 체포당한다.[40]
- '''로긴 디 가르프 엔선스''': 제1독립전대(밀레닐 부대) 대원, 일등중기사이다. 평민 출신으로, 롱 프레스건을 사용하는 저격병(롱건너)이다. 나르비를 좋아하지만 겉으로 드러내고 있지는 않다. 밀레닐 부대 해산 뒤에는 롱건너 부대 대장으로 취임한다.[40]
- '''지르그 디 레드 레 알바트로스''': 제1독립전대(밀레닐 부대) 대원으로, 바르도 장군의 외아들이다. 놀라운 실력을 가진 천재 마동전사로, 모든 무기를 다루며 발기술을 주로 하는 격투기에서도 실력이 뛰어나다. 벡토리아 고개에서의 일전으로 이오의 부대를 격퇴한 뒤 라이가트에게 일대일 대결을 신청하지만, 결국 라이가트와 서로를 이해하게 된다. 그러나 보르키스에게 체포된 뒤, 동료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자신이 델핑의 탑승자라고 밝혀 처형당한다.[40]
3. 2. 아테네스 연방
카미야 히로시가 성우를 맡은 제스는 아레스 장군 휘하의 와르키우레스 부대 대장이다.[8] 하시 타카야가 성우를 맡은 로키스는 아테네스 연방 최고 권력자(서기장)이자 제스의 형이다.[8] 제스는 사관학교 시절 나카무라 유이치가 성우를 맡은 라이가트와 친구였다.[8]우메즈 히데유키가 성우를 맡은 엘렉트는 와르키우레스 부대의 부대장이다.[8] 하나자와 카나가 성우를 맡은 클레오 사브라프와 카이다 유코가 성우를 맡은 리, 타카하시 켄지가 성우를 맡은 아르거스는 모두 와르키우레스 부대 대원이다.[8]
나카이 카즈야가 성우를 맡은 보르키스는 크리슈나 토벌군을 이끄는 장군이다.[8] 테라시마 타쿠마가 성우를 맡은 이오는 보르키스 장군 직속 마동전사이다.[8]
4. 설정
《월간 소년 브랜드》(모비다 엔터테인먼트 발행, 소프트뱅크 크리에이티브 발매) 2006년 10월호부터 연재를 시작했다. 그러나 연재 잡지가 2006년 11월호 이후 휴간하면서, 다른 연재작들과 함께 Yahoo!코믹스 내 무료 웹코믹스 《FlexComix 브랜드》로 이적하여 2007년 1월 17일부터 연재를 재개하였다. 이후 한 달에 한 번씩 연재되었으며, 1화와 최신화를 무료로 볼 수 있다. 또한 본래 출판사였던 플렉스 코믹스의 웹사이트 ([http://flex-comix.jp/ FlexComix Web])에서도 2009년 10월 26일부터 볼 수 있게 되었다.
작가의 첫 로봇 만화이며, 이 작품부터 필명을 吉永裕介에서 吉永裕ノ介로 바꾸었다(발음은 같음). 2009년 7월 8일(제31화 갱신일)에 애니메이션 제작이 발표되었으며, 2010년 5월 29일부터 총 6부작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차례로 공개되었다. 극장판 애니메이션 공개를 기념하여 2010년 4월 16일부터 《GA Graphic》에서 외전 온라인 소설 《브레이크 블레이드 창월의 유대》가 연재 중이다.
처음에는(단행본 1권 타이틀 로고 등) 제목 밑이나 옆에 《BREAK BLADE》로 표기했으나, 2권 이후에는 영문 제목을 함께 쓰지 않았다. 애니메이션판 제목에는 〈부러진 검〉을 의미하는 《BROKEN BLADE》가 함께 쓰였다. 또한 애니메이션판 공식 사이트 URL도 《breakblade》이다.
화석연료가 존재하지 않는 크루존 대륙 사람들은 모두 개인차는 있지만 석영을 조종할 수 있는 능력인 《마력》을 가지고 태어난다. 사람들은 석영을 이용하여 문명, 열원, 기계의 동력으로 활용하며, 인간형 병기 마동거대병기(골렘)를 만들었다.
이러한 세계에서 보기 드문 존재, 《마력이 없는 인간》 라이거트는 어느 날, 사관학교 시절 친구이자 현 크리슈나 국왕인 호드르의 소환을 받는다. 왕도에 간 라이거트는 호드르와, 현 크리슈나 왕비이자 사관학교 시절 친구인 시귄에게, 군사대국 아테네스 연방이 영토 침략을 했다는 것과 그 전선을 이끄는 부대장이 사관학교 시절 세 사람의 친구이자, 아테네스군 총사령관의 동생인 제스라는 사실을 듣게 된다. 호드르는 동요하는 라이거트를 석영 채굴장으로 안내한다. 그곳에는 고대인이 만든 고대 로봇 (언더) 골렘 델핑이 있었다. 동력용 석영이 탑재되어 있지 않아 아무도 움직이지 못했지만, 적의 습격에 휘말린 라이거트가 우연히 가동에 성공, 조종하게 된다.
한때는 사이좋은 친구였지만 전쟁의 포화 속에서 서로에게 총을 들이대게 된 네 사람. 운명의 수레바퀴 속에서 펼쳐질 이들의 운명은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작품의 인명과 용어는 그리스 신화・북유럽 신화에서 따온 경우가 많다.
4. 1. 세계관
크루존 대륙은 이야기의 주 무대로, 석영을 자원으로 사용하는 독특한 세계이다. 이 대륙 사람들은 모두 석영을 조종하는 능력인 "마력"을 가지고 태어난다.[8] 마력은 개인차가 있지만, 석영을 통해 문명을 발전시키고, 열원이나 기계의 동력으로 활용하며, 인간형 병기 마동거대병기(골렘)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이러한 세계에서 드물게 마력을 가지지 않고 태어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들을 "마력 무능자(언 소서러)"라고 부른다.[43] 마력 무능자는 마력을 당연하게 여기는 크루존 대륙에서 "능력 없는 자"로 차별받으며, 기계나 생활용품을 전혀 사용할 수 없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주인공 라이가트 아로는 이러한 마력 무능자 중 한 명이다.
4. 2. 국가
크루존 대륙은 화석연료가 존재하지 않는 세계로, 이곳 사람들은 모두 석영을 조종할 수 있는 능력인 《마력》을 가지고 태어난다. 이 마력을 이용해 문명을 이루고, 기계 동력으로 활용하며, 인간형 병기 마동거대병기(골렘)를 만들었다.[8]- 크리슈나 왕국: 대륙 중앙에 위치한 왕국으로, 석영 채굴량이 가장 많다. 주인공 라이거트는 마력이 없는 희귀한 존재인 '무능력자'로, 크리슈나 국왕 호드르와 왕비 시귄, 그리고 아테네스 연방의 제스와는 사관학교 시절 친구 사이이다.[8]
- 아테네스 연방: 대륙 서부에 위치한 군사 대국이다. 석영 자원 고갈로 인해 크리슈나를 침략하며, 이 전쟁의 선봉에는 제스가 이끄는 부대가 있다.
이야기는 마력을 가진 사람들이 석영을 이용해 살아가는 세상에서, 마력이 없는 '무능력자' 라이거트가 고대 골렘을 조종하게 되면서 크리슈나와 아테네스 사이의 전쟁에 휘말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8]
4. 3. 병기
크루존 대륙의 사람들은 석영을 조종하는 능력인 '마력'을 이용해 마동 거병(골렘)을 만들었다.- '''파브닐'''
:: 크리슈나 왕국에서 사용되는 제식 골렘이다.[2] 크리슈나는 석영 생산량에 비해 제식 골렘 파브닐을 주력으로 많이 사용한다. 일부 높은 계급의 기사들은 커스텀 파브닐을 사용한다.
- '''델핑'''(쿠로긴)
:: 크리슈나의 석영 채굴장에서 발견된 고대 골렘이다.[2] 마력이 없어도 기동 가능하며, 일반 골렘보다 강력한 성능을 보인다. 마력 전달을 할 수 없어 프레스 건은 사용하지 못한다. 격렬한 전투 시 사용 시간이 제한되며, 냉각 상태에 들어가면 24시간 동안 조종이 불가능하다. 마력이 없는 라이거트만이 조종할 수 있다.
- '''휴케리온'''
:: 아테네스 연방의 보르키스 장군의 커스텀 골렘이다.[2] 다리와 손목에 프레스 건, 등에 여러 개의 검과 체인을 장비하고 망토로 가리고 전투에 임한다. 다양한 무기로 어떤 상황에도 대처 가능하며, 보르키스 장군의 실력이 더해져 강력하다.
- '''아테네스 연방 기본 골렘'''
::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크리슈나 왕국의 파브닐과 같은 양산형 골렘이다.[2] 색깔은 흰색이다. 아테네스 연방 장군들은 커스텀 골렘을 보유하고 있다. (에르테미스, 에르테미스리오스, 휴케리온, 기라토스, 트로이아 등)
5. 주제가
극장판과 TV 애니메이션 모두 코키아가 부른 〈Fate〉를 오프닝 테마로 사용했다.[40][42] 극장판의 경우 처음 5편의 엔딩 테마는 페이란의 "SERIOUS-AGE"이고, 6편의 엔딩 테마는 嘆きの音|나게키노 오토일본어이며, 이 곡 역시 코키아가 불렀다.
5. 1. 극장판 애니메이션
극장판 애니메이션은 총 6화로 구성되었으며, 약 1~2달 간격으로 개봉했다.- 제1장 〈각성의 시간〉: 2010년 5월 29일 개봉. 상영시간 50분. 대한민국에서는 ㈜조이앤컨텐츠그룹(스크린조이 명의)이 수입하여 2012년 4월 19일 개봉 예정이었으나, 극장 상영 없이 웹 다운로드로 유료 공개되었다. 출시명은 '''브레이크 블레이드: 변신의 시작'''.[40]
- 제2장 〈결별의 길〉: 2010년 6월 28일 개봉. 상영시간 51분. 대한민국에서는 ㈜케이알씨지가 수입하여 2013년 5월 30일 대구 씨네스카이자동차극장에서 1회 상영 후 VOD로 출시되었다. 상영명은 '''브레이크 블레이드 2: 전쟁의 서막'''.[40]
- 제3장 〈흉인의 흔적〉: 2010년 9월 25일 개봉. 상영시간 47분. 대한민국에서는 ㈜케이알씨지가 수입하여 2013년 6월 21, 24, 25, 26일에 거제아트시네마에서 상영 후 VOD로 출시되었다. 상영명은 '''브레이크 블레이드 3: 운명의 장난'''.[40]
- 제4장 〈참혹한 재화의 땅〉: 2010년 10월 30일 개봉. 상영시간 49분. 대한민국에서는 ㈜케이알씨지가 수입하여 2013년 7월 11, 12일에 거제아트시네마에서 상영 후 VOD로 출시되었다. 상영명은 '''브레이크 블레이드 4: 세기의 전쟁'''.[40]
- 제5장 〈사선의 벼랑〉: 2011년 1월 22일 개봉. 상영시간 47분. 대한민국에서는 ㈜케이알씨지가 수입하여 2013년 8월 1일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아트시네마와 전라북도 전주시 전주시네마타운에서 상영 후 VOD로 출시되었다. 개봉명은 '''브레이크 블레이드 5: 최후의 명령'''.[40]
- 제6장 〈통곡의 요새〉: 2011년 3월 26일 개봉. 상영시간 52분. 대한민국에서는 ㈜케이알씨지가 수입하여 2013년 8월 22일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아트시네마에서 단관 개봉 후 VOD로 출시되었다. 개봉명은 '''브레이크 블레이드 6: 결전의 시간'''.[40]
총감독은 아미노 테츠로, 감독은 하바라 노부요시이며, 프로덕션 I.G와 XEBEC이 제작했다. 오프닝 테마는 코키아가 부른 〈Fate〉이다.[40]
5. 2. TV 애니메이션
2014년에 TV 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되었다.[42] 제작위원회 표기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에서 사용했던 표기를 재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띄어쓰기가 들어간 채로 바뀌지 않았다.총감독은 아미노 테츠로, 감독은 하바라 노부요시이며, Production I.G와 XEBEC이 제작을 맡았다. 오프닝 테마는 코키아가 부른 "Fate"이며, 처음 5편 영화의 엔딩 테마는 페이란의 "SERIOUS-AGE"이고, 6편 영화 엔딩 테마는 嘆きの音|나게키노 오토일본어이며, 역시 코키아가 불렀다. 영화는 대부분 만화 스토리를 따르지만, 6화에서는 애니메이터들이 만화에서 벗어나 자체적인 줄거리로 이야기를 마무리했다.
6. 논란 및 비판
원작 만화는 이야기가 완결되지 않은 채 급작스럽게 종료되었다.[31][32] 작가는 자신의 건강 문제와 판매 부진, 델핑의 잦은 파손으로 인한 액션 장면 연출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들었다.
7. 한국에서의 전개
2012년 4월 19일, 극장판 애니메이션 제1장이 (주)조이앤컨텐츠그룹에 의해 "브레이크 블레이드: 변신의 시작"이라는 제목으로 한국에 개봉될 예정이었다.[40][41] 그러나 극장 상영은 이루어지지 않고 웹 다운로드를 통해 유료 공개되었다. 이후 극장판 애니메이션의 나머지 5편도 (주)케이알씨지에 의해 수입되어 VOD로 출시되었다.[42]
참조
[1]
서적
ブレイク ブレイド 1巻 Flex Comix
[2]
웹사이트
"CMX Confirms ''King of Debris'', ''Lapis Lazuli Crown'', ''Broken Blade'' (Updated)"
http://www.animenews[...]
Anime News Network
2009-07-19
[3]
웹사이트
DC Comics to Shut Down CMX Manga Imprint in July)
http://www.animenews[...]
Anime News Network
2011-11-04
[4]
웹사이트
BREAK BLADE破刃之劍 1
http://www.tongli.co[...]
Tong Li Publishing
2009-07-19
[5]
웹사이트
"''Broken Blade'' Fantasy Robot Manga Gets Anime Green-Lit (Updated)"
http://www.animenews[...]
Anime News Network
2009-07-19
[6]
웹사이트
Sentai Filmworks Licenses Broken Blade
http://www.animenews[...]
Anime News Network
2011-10-10
[7]
뉴스
Crunchyroll Adds "Broken Blade" Anime to Catalog
http://www.crunchyro[...]
2012-10-19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웹사이트
VIDEO: "Broken Blade" TV Edit Coming in April
http://www.crunchyro[...]
[30]
웹사이트
【フレックスコミックス】累計370万部突破のマンガ『ブレイクブレイド』完結巻発売直前キャンペーン、9月17日から3日間限定の1巻〜17巻無料配信を各電子書籍ストアで開催
https://prtimes.jp/m[...]
2022-09-17
[31]
웹사이트
"[ブレイク ブレイド]特集ページ|"
http://comic-meteor.[...]
アプリックス
[32]
웹사이트
【ブレイクブレイド】あの超大人気漫画の新装版はここがスゴイ!【超美麗!】
http://www.radiokaik[...]
라디오회관
2013-07-12
[33]
웹사이트
ブレイクブレイド : 2度目のアニメ化が進行中
https://mantan-web.j[...]
毎日新聞社
2013-08-08
[34]
웹사이트
ブレイクブレイド : テレビアニメ化決定 劇場版を再構成
https://mantan-web.j[...]
毎日新聞社
2014-02-02
[35]
문서
연재재개의 전날에 해당하는[[1월 16일]]보다 행하여지고 있던 제1화로부터의 재게재로부터의 흐름으로 재개했다.
[36]
웹사이트
ブレイク ブレイド
http://comics.yahoo.[...]
ヤフー
2014-02-01
[37]
웹사이트
コミックナタリー - 「ブレイク ブレイド」「天使のどろっぷ」メテオで再開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14-02-01
[38]
문서
[39]
웹사이트
新レーベル「メテオCOMICS」、11月12日創刊!
http://comic-meteor.[...]
アプリックス
2014-02-01
[40]
웹사이트
ブレイク ブレイド
http://comic-meteor.[...]
ジー・モード
2014-04-06
[41]
웹사이트
ブレイクブレイド
http://comic-meteor.[...]
アプリックス
2014-04-06
[42]
웹사이트
Twitter / 54yuzy: ちなみにブレブレ、ロゴも一新しています。あと「ブレイク」と「 ...
https://x.com/54yuzy[...]
バンダイビジュアル
2014-04-06
[43]
서적
メガミマガジン 2010年2月号
学習研究社
2009-12-26
[44]
문서
[45]
문서
[46]
문서
[47]
문서
[48]
문서
[49]
문서
[50]
간행물
双葉社
2011-03
[51]
문서
[52]
문서
[53]
문서
[54]
문서
[55]
문서
[56]
웹사이트
4月放送開始、新作映像追加のTV版「ブレイクブレイド」が8月BD-BOX化
https://av.watch.imp[...]
Impress Watch
2014-04-06
[57]
웹사이트
「ブレイクブレイド」オリジナルビデオアニメーション制作中止のお知らせ
http://comic-meteor.[...]
[58]
웹사이트
外伝小説「-蒼月ノ絆-」サイト移設のご案内
http://brebre.b-ch.c[...]
バンダイビジュアル
2014-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